전체 글 4

[C#] 아두이노, 라즈베리파이 USB 직렬포트를 PC에서 사용하기 DHT22 온/습도 측정기 사용 2

이제 DHT22 온/습도 측정기 사용의 마지막단계 입니다. 앞의 과정에서 USB포트로 DHT22 온/습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가져와보았는데요. C#에서도 이 방식을 적용시켜 값을 가져와보아야겠죠? 순서는 이러합니다 DHT22 온/습도 측정 값 > 라즈베리파이 ser2net > PC로 전송 > C# 윈폼 출력 아쉽게도 결과물 촬영을 하지못해 일부의 사진만 있다는것을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전의 게시물을 참고하여 바탕으로 진행해주시면 문제가 없습니다!! 그리고 아두이노 부분에서는 코드의 변경이 조금있었습니다 데이터를 깔끔하게 출력하기위해.. #include #include #include // LCD 사용 #define DHTPIN 2 // 온습도 센서가 2에 연결 #define DHTTYPE DHT22..

IoT 2021.03.09

[C#]아두이노, 라즈베리파이 USB 직렬포트를 PC에서 사용하기 DHT22 온/습도 측정기 사용 1

이번에는 라즈베리파이에 아두이노(우노)를 연결하고 거기에 DHT22 모델을 장착한 상태에서 PC에 값을 보내는것을 해보려고합니다. 이 과정에서는 서버쪽 코드는 없습니다. 단지 라즈베리파이 Linux ser2net를 이용하여 IP, 포트로 값을 보내기만 할것입니다! 전의 과정은 개발해보기 1, 2 를참고하여 아두이노를 세팅해주세요! greendj.tistory.com/2 [C#] 아두이노 온/습도 DHT22 USB 시리얼 포트 연결 C# 개발해보기 1 회사에서 IoT를 배우게되면서 아두이노를 사용하게되어 DHT22를 이용한 온습도 데이터 출력을 해보고자 합니다. (개발자 입문 단계이다보니 설명이 부족하거나 코드도 부족한게 많을 수 있습니다 greendj.tistory.com 이렇게 구성되어있습니다. 허브로..

IoT 2021.03.05

[C#] 아두이노 온/습도 DHT22 USB 시리얼 포트 연결 C# 개발해보기 2

이제 LCD 모듈에 출력을 완료했으니 C#으로 개발을 해야겠죠? 전의 과정을 안거쳤는데? 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로 이동!greendj.tistory.com/2 [C#] 아두이노 온/습도 DHT22 USB 시리얼 포트 연결 C# 개발해보기 1 회사에서 IoT를 배우게되면서 아두이노를 사용하게되어 DHT22를 이용한 온습도 데이터 출력을 해보고자 합니다. (개발자 입문 단계이다보니 설명이 부족하거나 코드도 부족한게 많을 수 있습니다 greendj.tistory.com 데이터 가져오는건 기본중에 기본이라고 하시네요.. 아무리찾아도 원하는 C#개발이 없길래.. 조잡하게 개발했으니 이해 부탁드립니다. (검색은 키워드가 중요하다!!) C# Winform으로 코딩을 했습니다 using System; using Sy..

IoT 2021.02.25

[C#] 아두이노 온/습도 DHT22 USB 시리얼 포트 연결 C# 개발해보기 1

회사에서 IoT를 배우게되면서 아두이노를 사용하게되어 DHT22를 이용한 온습도 데이터 출력을 해보고자 합니다. (개발자 입문 단계이다보니 설명이 부족하거나 코드도 부족한게 많을 수 있습니다.) 코딩을 하며 배운 내용을 기록 및 보관하기위해 이 글을 작성합니다. lcd 와 아두이노, 브레드 보드, USB 포트를 사용하여 개발 중 핀연결 관계는 이 보다 더좋은 자료가 더많으니 다른 곳을 참고 하시길.... 복잡하니 설명 생략(1) 먼저 아두이노에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코드를 넣어주기위해 Arduino IDE를 사용합니다. 보드는 "Arduino Uno" 포트는 "COM3" 이 정도는 이 글 을 보시는분들은 다아시겠죠?? 모른다한들 인터넷에 너무 방대한 데이터가 다알려주니 설명생략(2) 코드의 라이브러리를 추..

IoT 2021.02.25